일반 주거지역 구분 1종 2종 3종 분류 종류 용적율

오늘은 일반 주거지역 구분 및 확인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아마 아시는 분들은 다들 잘 아실만한 정보지만, 몰랐던 분이라면 알아둘만한 정보여서 소개해봅니다. 기본적으로 일반주거지역은 1종, 2종, 3종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일반주거지역은 층수 및 용적률의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재건축 시 주거지역의 종류가 중요한 경우가 있는데요, 그렇기에 오늘 알아보는 정보도 그것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거지역 구분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일반주거지역은 용적률로 구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종류에 따라서 용적률이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제1종 일반주거지역은 저층주택 위주의 건축을 허가하는 구역입니다. 용적률은 100% 이상 200%이하이며 4층 이하의 주택만 건축이 가능한데, 필로티 건물은 5층까지도 건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중규모 건축을 허가하는 지역으로 용적률은 100% 이상 250% 이하이어야만 합니다. 평균 18층 층수제한이 있었으나 폐지되었고, 다만 지방자치단체에서 20층 이하의 아파트 건축을 허가해주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층수 제한이 없는 고층주택 개발지역으로, 용적률은 100%이상 300%이하 입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나무위키 ‘일반주거지역’ 정보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우리가 살고있는 곳이 어떤 주거지역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다지 어렵지 않고, 네이버 지도만 살펴보면 되는 아주 쉬운 방법입니다. 아래는 네이버 지도에 접속한 화면… 사진과 같이 시청역이 가장 먼저 뜨는데, 이 화면을 예로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도 오른쪽에 보면 ‘지적편집도’라는 메뉴가 보이실겁니다. 빨간색 화살표로 표기를 했으니, 찾기 어렵진 않으실겁니다. 거기로 들어가면 됩니다.

거기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바뀌는데요, 이 화면을 통하면 해당 지역이 어떤 지역인지 표기가 되어 있어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 등등 해당 위치에 관한 지역지구 상태를 알 수 있어서 누구나 쉽게 원하는 곳의 지역지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네이버 지도에서 본인이 원하는 지역을 선택한 후 오른쪽 메뉴 중에서 ‘지적편집도’를 선택하면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쉽게 주거지역 구분 및 주거지역의 종류 분류 확인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일반주거지역은 1,2,3종으로 나뉘로 용적률이 그 기준이 되며, 해당 지역의 지구 상태는 네이버 지도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은 방법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본인이 살고 있는 곳이라도 한 번 찾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다음은 청약점수 계산법… 다들 잘 아시겠지만, 몰랐던 분들도 있을 것 같아 소개해봅니다.
>청약점수 계산 분양 아파트 청약 점수 계산법 만점은 84점<
역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